2. 아무 생각 없이 거울을 뚫어지게 쳐다봐라.
- 너가 갑자기 잡생각이 들어 공부나 어떠한 업무에 지장이 있을 정도로 딴 생각이 모락모락 날 때면, 그냥 거울을 찾아서
뚫어지게 너의 모습을 보고 가만히 있는 것도 좋은 방법 중 하나야.
간단히 말해서 너의 지금 모습을 거울로 통해 너가 직접 확인함으로써 너가 어떤 행동을 하고 있고, 너가 어떤 모습을 보이고 있는지
자아 성찰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직접적으로 오게 되는 기회가 주어지는 거지.
"거울" 의 의미는 많은 곳에서 자아 성찰을 하고, 자신을 되돌아보는 도구로 이용되어지며 그렇게 불려져.
즉, 너가 너 자신의 모습을 거울을 통해 확인함으로써 감각을 예민하게 만들 수 있고 그 예민해진 감각을 통하여
주위 분위기와 공기들은 점차 고요해지고, 뇌는 이러한 감각들과 직접적인 정신 수양으로 인해서
불필요한 과거 떠올리기 혹은 잡생각을 굳이 떠올릴 필요가 없게 만드는 거지.
만일 거울이 없더라면, 그냥 아무 곳이나 좁은 시야로 한 곳에만 집중하여 뚫어져라 쳐다봐도 좋아.
그렇다면 시각을 비롯한 촉각, 후각적인 부분 모두 너가 보고 있는 곳에 집중하게 되어 어느순간 넌 그곳에 집중하게 되니까 말야.
3. "completion time" 정하기
- 완료시간이 정해지면 집중력이 올라가는 건 아는 사람은 다 아는 이야기일 거야.
회사 뿐 아니라 모든 곳에서도 업무 완료 시간에 대한 개념과 규칙은 매우 강경하고 아주 중요한 이야기지.
사무직들이 야근을 하는 근본적인 이유도 시간은 한정적이기 때문에 야근을 할 수 밖에 없기에 하는거지.
너가 그냥 개인적인 공부를 하더라도, 핸드폰이나 초시계를 통해 타이머를 1시간이면 1시간 동안 맞추어두고 한다면
그러한 "시간" 이라는 압박감 등의 이유 덕에 그 시간을 잘 분배하여 더욱이 잘 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줘.
그런 컴플리션 타임이 없다한다면 완료에 대한 압박감이 줄어들기에 당연히 설렁설렁 하게 될 수 밖에 없고.
예를 들어, 우리가 100m 달리기든 200m 달리기든 전력질주로 달리는 것은 초시계로 타이머를 재고 있기 때문이야.
똑같은 조건에서 초시계를 사용하지 않거나, 타이머를 재지 않는다고 해도 전속력으로 지칠 듯이 뛰는 사람이 전자와 같은 수일까?
그렇기에 "completion time"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얘기를 하는 거지.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7학년도 (17학번) 인천대 정시등급컷 (0) | 2017.11.24 |
---|---|
외국 의대에 대해서,가는법 - '헝가리'편 (4) | 2017.09.10 |
일본 의학/약학/수의학/치의학 대학의 현실 자세한 정보 (0) | 2017.09.01 |
오픽(opic) 현실적이고 바로 적용가능한 공부방법 및 조언 (0) | 2017.09.01 |
과학적으로 자신감,자존감 상승하는 방법 (0) | 2017.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