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nformation

집밥 백선생3 레시피 E6-E8 - 비빔밥,라면,두부 편



◆ 6화 - 비빔밥

 - 나물비빔밥

 - 돼지고기 맛나니

 - 참치 맛나니 / 연어 맛나니

 - 만능 겉절이 양념장

 - 봄나물 겉절이  (봄동, 돌나물, 미나리, 참나물, 세발나물)

 - 절이지 않고 빠르게 만드는 배추 겉절이

 - 겉절이 양푼비빔밥

  

◆ 7화 - 라면

 - 꼬들한 면발 기본라면 (라면을 1개나 2개 끓일 때)

 - 감칠맛이 폭발하는 국물라면

 - 우유라면

 - 라면전

 - 탄탄면

 - 불맛짬뽕라면 & 라면 여러개 동시에 끓이기 (라면 5개 기준)

 

◆ 8화 - 두부

 - 두부스크램블 브런치

 - 계란 없이 만드는 두부스크램블 브런치

 - 으깬 두부덮밥 (동남아풍)

 - 대패두부조림

 - 두부틈새전골

 

 

 

 

 

 

 

■■■ 6화 - 비빔밥 ■■■ 

 

 

 

 

※ 깨

   - 볶아놓은 깨는 시간이 지나면 다시 볶아주는게 좋다. 

   - 깨를 볶을 땐, 약불에 저어주며 볶는다.

   - 음식에 깨를 통으로 넣으면 보기에 좋고 씹는 식감이 있으며,

      깨를 음식에 갈아 넣으면(깨소금) 고소함이 증가된다.

 

 

※ 시금치를 대칠 땐, 끓는물에 넣었다가 1분 이내에 꺼낸 후, 바로 찬물에 헹궈줘야 아삭한 식감이 유지된다.

※ 나물을 무칠 때는 깨소금을 많이 넣고, 참기름은 향만 내는 기분으로...

 

 

 

 

 

 

 

 

 

 

 

★ 나물비빔밥

밥, 나물 (콩나물 무침, 시금치 무침, 버섯볶음 등), 고추장 1숟가락, 깨소금 듬뿍, 참기름을 넣고 비빈다.

 

 

 

 

 

 

 

 

 

※ 맛나니: 1숟가락 정도로 사용하는 음식의 핵심 비법 소스

 

 

★ 돼지고기 맛나니

간 돼지고기 1컵  (소고기나 닭고기도 사용 가능)

다진 양파 1컵

간장 1/3 컵  (만능맛간장이 있다면 만능맛간장 사용)

간마늘 1숟가락

설탕 1숟가락

깨소금 1숟가락

물 반컵

 

을 모두 팬에 넣고, 고기를 물에 풀어주며 볶는다.

수분이 모두 증발할 때까지 볶는다.

※ 지방이 섞인 고기를 쓰면 나중에 보관할 때 기름이 굳는데, 볶는 도중에 식용유를 조금 넣어주면 잘 안 굳는다.

 

거의 다 볶아지면 참기름을 넣어서 마무리한다.

 

평범한 [나물 비빔밥]에 맛나니 1숟가락을 넣고 비벼 먹는다.

(맛나니를 넣고 비빈 비빔밥을 조미김에 싸 먹으면 더 맛있다.)

 

냉장보관하다가 다시 꺼내 먹을 때는, 기름이 굳어있으니 프라이팬이나 전자렌지에 데워서 사용한다.

 

 

 

 

 

 

 

 

★ 참치 맛나니 / 연어 맛나니

참치캔 1개 or 연어캔 1개

다진 양파 1컵

간장 1/3 컵   ([만능맛간장]이 있다면 만능맛간장 사용)

간마늘 1숟가락

설탕 1숟가락

깨소금 1숟가락

(매운맛을 좋아한다면 고춧가루 1숟가락과 물 약간을 추가한다.)

을 모두 팬에 넣고 볶으면 맛나니 완성.

 

이후 [돼지고기 맛나니]처럼 비빔밥에 넣어 먹으면 된다.

 

☆ 간단히 먹기

밥 1공기에 맛나니 1숟가락을 넣고 비벼 먹는다.

 

☆ 업그레이드 1

김가루와 마요네즈가 있으면 추가한다.

 

☆ 업그레이드 2

청양고추를 잘게 썰어서 추가한다.

 

 

 

 

 

 

 

 

 

 

 

 

 

★ 만능 겉절이 양념장

국간장 1/3컵

액젓 1/3컵

고춧가루 1/3컵

깨소금 2숟가락

설탕 1숟가락

간마늘 1숟가락

다진 대파 1컵

을 모두 섞는다.

 

※ 양념을 보관했다가 다시 쓸 때 너무 뻑뻑해졌다면, 물이나 액젓을 조금 넣어서 걸쭉한 농도로 풀어준다.

 

 

 

 

 

 

 

 

 

 

 

★ 봄나물 겉절이  (봄동, 돌나물, 미나리, 참나물, 세발나물)

 

☆ 나물별 손질법

돌나물은 상처가 나면 숨이 죽으니 살살 씻는다

봄동은 먹기 좋게 뜯고, 튀어나온 섬유질은 칼로 잘라낸다.

미나리와 참나물은 먹기 좋은 크기로 자른다. 줄기 쪽은 질기니 더 짧게 자른다.

세발나물은 씻으면 끝.

 

☆ 나물 무치기

나물 1주먹에 [겉절이 양념장] 1숟가락을 넣고 비빈다.

무치자마자 바로 먹어야 한다면, 손으로 꾹꾹 쥐면서 숨을 죽여준다.

다 무쳤으면 참기름을 넣는다.  (참기름 대신 들기름을 사용하면 새로운 맛)

 

 

 

 

 

 

 

 

 

★ 절이지 않고 빠르게 만드는 배추 겉절이

배추를 결과 반대방향으로 아주 얇게 채 썬다.

[겉절이 양념장]과 참기름을 넣고 무친다.

비빔밥용이라면 그냥 먹고, 반찬으로 내놓을 것이라면 깨를 뿌린다.

 

 

 

 

 

 

 

 

★ 겉절이 양푼 비빔밥

양푼에 밥과 봄나물 겉절이, 나물을 종류별로 넣고

고추장과 맛나니, 깨소금을 넣는다.

계란후라이를 위에 올린다.

 

 

 

 

 

 

 

 

 

 

 

 

 

 

 

 

 

 

■■■ 7화 - 라면 ■■■ 

 

 

 

※ 파나 양파를 썰 때 눈이 맵지 않으려면, 잘 드는 칼로 상처 없이 자르면 된다.

 

 

 

 

★ 꼬들한 면발 기본라면 (라면을 1개나 2개 끓일 때)

※ 물 550ml 쉽게 맞추기: 종이컵 하나가 180ml이니 3컵(540ml) 넣는다.

※ 면은 되도록 쪼개지 말고, 냄비가 작아 쪼개야 한다면 결 방향대로 쪼개서 면이 짧아지는 걸 막는다.

 

물에 스프를 먼저 넣고 끓인다.

물이 끓으면 면을 넣는다.

면을 집게로 들었다 놨다 하거나 흔들어 풀어주면서 익힌다.

 

☆ 계란 넣기

면을 끓이다가 아직 설익어서 꼬들꼬들할 때, 면만 꺼내 그릇에 담는다.

이후 남은 국물에 계란물과 파를 넣어서 계란을 익힌 후, 면 위에 국물을 붓는다.

 

보기 좋은 모양이 나오게 국물을 부으려면, 면을 들어서 면 아래에 국물 절반을 붓고, 면 위에 나머지 절반을 붓는다.

 

 

※ 만약 계란을 풀어먹는 대신 노른자가 안 익고 흰자만 익은 모습을 원한다면, 계란을 면과 함께 그대로 넣는다.

 

 

 

 

 

 

 

 

 

★ 감칠맛이 폭발하는 국물라면

물 3컵과 스프를 끓인다.

물이 끓으면 면을 넣고, 액젓 1숟가락을 넣는다.

면이 살짝 설익었을 때, 면을 꺼낸다.

국물에 계란물을 풀어서 익힌다.

국물을 면 위에 끼얹는다.

 

 

 

 

 

 

 

 

 

 

★ 우유라면

물을 끓인다.

물이 끓으면 면을 넣는다.

면이 꼬들꼬들하게 설익었을 때, 체를 이용해 국물을 버린다.

 

찬 우유 2컵과 스프를 면에 넣고 끓인다.

(취향에 따라 고춧가루를 넣는다.)

마무리로 파를 넣는다.

 

 

 

 

 

 

 

 

 

★ 라면전

※ 맥주 안주용으로 적절

 

물을 끓이고 면을 넣는다.

면이 익으면 체를 이용해 국물을 버린다.

면에 라면스프 1봉을 다 넣고 비빈다.

대파를 잘게 썰어 넣고 비빈다.

 

팬에 기름을 넣고 달군다.

팬이 달궈지면, 비빈 라면을 넣고 부친다.

 

※ 올리고당이나 꿀을 소스처럼 찍어먹는다.

 

☆ 업그레이드

라면을 최대한 넓게 펼쳐서 부친다.

반쪽 절반에 모짜렐라 치즈를 올리고 반으로 접으면서 익힌다.

 

 

 

 

 

 

 

 

 

 

 

★ 탄탄면

건더기 후레이크와 면을 끓인다.

면이 풀어질 정도로 익으면 물 절반을 버린다.

 

라면스프 1봉을 다 넣는다.  (너무 짜면 양 조절)

땅콩버터 1숟가락을 넣는다.

대파와 고춧가루를 넣고 끓인다.

 

 

 

 

 

 

 

 

 

 

 

 

★ 불맛짬뽕라면 & 라면 여러개 동시에 끓이기 (라면 5개 기준)

대패삼겹살 5주먹

양파, 양배추, 파를 잘라두고

고춧가루, 진간장을 준비힌다.

 

 

500ml 물 5개를 넣고 끓인다. (550ml의 5배가 아님) ◀ 라면 여러 개 끓일 때 팁

스프를 빠르게 넣을 수 있도록 미리 뜯어서 한 곳에 모은다. (스프 넣는 타이밍을 놓치지 않도록..) ◀ 라면 여러 개 끓일 때 팁

 

동시에 옆에서

 

팬에 식용유를 넣고 대패삼겹살을 볶는다.  (고추기름을 내기 위해 기름 추가)

파와 양파를 넣는다.

대패삼겹살은 잘 익도록 펼치면서 익히고

양파가 노릇노릇할 때까지 충분히 볶는다.  (불맛을 내기 위한 방법)

※ 해물믹스가 있으면, 양파가 노릇노릇할 때 넣는다.

 

양파가 갈색으로 노릇노릇해지면, 양배추 채를 넣는다.

재료를 팬 구석에 몰아넣고, 팬 바닥에 진간장 5숟가락(라면 1개당 1숟가락)을 넣어 눌린 후 섞는다.

고춧가루 5숟가락을 넣는다. (1개당 1숟가락)

 

옆 냄비에서 끓는 물을 팬에 붓고

바로 스프를 모두 넣는다.

면을 넣고 익힌다.

 

라면이 적당히 풀어지고 아직 설익었을 때, 커다란 그릇에 옮겨 담는다.

(조리용 팬을 그대로 식탁까지 가져가면 라면이 불어버리니 별도의 그릇으로 옮기는 게 중요.)

 

 

 

 

 

 

 

 

 

 

 

 

 

 

 

■■■ 8화 - 두부 ■■■ 

 

 

 

 

 

 

 

 

 

★ 두부스크램블 브런치

 

계란 2개로 계란물을 만든다

두부 반모를 칼 옆면을 이용해 으깬다.  (나무도마에서 으깬다면, 도마 냄새가 두부에 스며들지 않도록 도마에 랩을 씌우고 으깬다.)

으깬 두부를 계란물에 넣고 섞는다.

소금 1꼬집을 넣어 간한다.

 

팬에 버터 조각을 녹인다. (없으면 식용유 사용)

계란물을 부은 후, 휘저어주면서 스크램블을 만든다.

후추를 뿌려서 스크램블 완성.

 

베이컨은 기름 없이 팬에 익힌다.

식빵도 기름 없이 팬에 익힌 후 먹기 좋게 자른다.

 

두부스크램블, 베이컨, 토스트를 접시에 놓아 세팅한다.

스크램블 위에 작은 버터 조각을 올린다.

커피와 함께 먹는다.

 

 

 

 

 

 

 

 

 

 

 

★ 계란 없이 만드는 두부스크램블 브런치

베이컨을 잘게 채 썰듯이 자른다.

대파를 잘게 자른다.

두부를 으깬다.

 

팬에 식용유를 두르고 베이컨, 파를 익힌다.

약간 노릇노릇해지면 두부를 넣는다.

후추와 소금을 조금 넣는다.

두부의 수분이 날아갈 때까지 볶는다.

 

두부스크램블을 모은 후

치즈를 위에 올려서 녹는 걸 기다린다.

 

치즈가 녹으면 그대로 스크램블을 접시에 꺼낸다.

식빵은 기름 없이 팬에 굽고, 같이 접시에 세팅한다.

 

케찹을 곁들여 먹는다.

 

 

 

 

 

 

 

 

 

 

 

★ 으깬 두부덮밥 (동남아풍)

 

대파를 잘게 자른다.

두부 한모를 으깬다.

건새우 한주먹을 준비한다. (건새우가 너무 커서 싫으면 칼로 으깬다.)

 

팬에 식용유를 두르고 파를 넣고 볶아 파기름을 낸다

대파가 노릇노릇해지기 전에 건새우를 넣어 볶는다.

으깬 두부 한모를 넣는다.

설탕 1/4숟가락 넣는다.

잘 볶다가 수분이 날아가면, 액젓 2.5 숟가락을 넣는다.

매운맛을 원한다면, 청양고추 2개 정도를 잘게 잘라 넣고 같이 볶는다.

식초 1숟가락을 넣는다.

 

적당히 볶아졌으면, 밥 위에 올려 먹는다.

 

 

 

 

 

 

 

 

 

 

 

★ 대패두부조림

두부 1모를 자른다.

대패삼겹살 약 2 주먹을 준비한다. (대패삼겹살을 자를 때 가위를 활용해서 자르면 편함.)

 

팬을 준비하고, 바닥에 대패삼겹살을 깔아준다.

삼겹살 위에 두부를 올린다.

 

두부 위에

자른 대파 1주먹

자른 청양고추 2개

간마늘 1숟가락

고춧가루 2숟가락

설탕 1숟가락

깨소금 2숟가락

진간장 1/3컵

물 1컵 (살짝 잠기기 직전)

들기름 2숟가락

액젓 1숟가락

을 모두 넣은 후 끓인다.

※ 중간에 간을 봤을 때, 너무 짜다면 두부 or 감자, 양파를 넣어 맞춘다.

 

국물이 자작하면 불을 끈다. 

(끓고 있을 때는 실제보다 국물이 많아 보이니, 너무 졸여서 태우지 않도록 주의)

 

밥과 함께 먹는다.

 

 

 

 

 

 

 

 

 

★ 두부틈새전골

 

☆ 고기소 만들기

잘게 자른 대파 1컵

간 돼지고기 1컵

만능맛간장 1/4컵 (없으면 진간장 + 맛술 사용)

간마늘 1숟가락

깨소금 1숟가락

설탕 1/3 숟가락

을 모두 섞어 고기소를 만든다.

※ 고기를 젓가락으로 잘 휘저어주면 탄성이 생긴다.

 

다 섞였으면 고기소에 참기름을 살짝 넣는다.

 

 

☆ 두부에 고기소 넣기

두부 2모를 준비하고, 두부를 반으로 자른다.

두부 반모 옆에 나무젓가락을 기찻길처럼 붙여놓고, 두부 한쪽 구석이 연결되어있게 자른다.

이후 조개처럼 2개씩 쌍을 이뤄 자른다.

 

두부 사이에 고기소를 넣는다.

 

※ 두부에 넣고 남은 고기소 활용

    배추김치를 한 장씩 떼고, 배추잎에 고기소를 넣어서 돌돌돌 말아 김치말이를 만든다. 

    고기소 김치말이를 냄비 중앙에 배치한다.

 

 

 

☆ 전골냄비 세팅하기

두부를 빽빽하게 넣을 수 있도록 적당히 작은 냄비를 찾아서, 빼곡하게 두부를 세워 넣는다.

(빼곡하지 않으면 두부가 벌어져서 실패)

 

김치를 적당히 잘라서 냄비에 같이 넣는다.

 

간마늘 1숟가락

대파 1개 썰어서

어슷썰기 한 청양고추/홍고추 각 1개

양파 반개

찬물에 1시간 불린 당면 (미리 불리지 못했다면 따로 당면을 삶고, 전골이 완성되었을 때 넣는다.)

물 5컵 (두부가 물에 뜨지 않을 정도로)

고춧가루 2숟가락

만능맛간장 약 반컵 (간조절에 유의)

액젓 3숟가락

을 모두 냄비에 넣고 끓이면서 먹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