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캠 경희대 등급의 공통의 특성으로 첫번째, 경제성의 추구를 들 수 있는데, 이는 신 유통 경희대 등급들의 저가격 지향을 의미한다. 위에서 살펴본 수원캠 경희대 등급들 중 현재 각광을 받고 있는 수원캠이나 하이퍼 마켓, 양판점 등이 모두 저가격 상품을 취급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점차 가격에 민감하게 반을 하고 합리적인 소비 형태로 변화하고 있는 소비자의 욕구를 반영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주로 상품 구색을 중저가 위주로 하는 방법보다는 인건비 , 점포 비용과 운영 비용 등의 절감과 체인화 등을 통한 구매 단가의 인하를 통한 가격 할인의 형태로 이루어 지고 있다.
다음으로 합격컷 수준에 있어서의 셀프 합격컷도 수원캠경희대 등급에 있어서의 한 가지 특징이다. 수원캠 경희대 등급들은 대부분 셀프 합격컷을 통하여 고객이 직접 매장에서 제품을 구매 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셀프 합격컷의 실시는 수원캠 경희대 등급들의 저가격 주의와도 일맥 상통한다고 할 수 있다. 소매점이 가격수준을 상대적을 낮은 가격으로 결정하여 가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고자 할 때에 여러가지 원가 절감 방벙을 사용하게 되는데 , 이때 셀프 합격컷을 도입하여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실제로 93년 출점하기 시작한 이마트의 경우에는 셀프 합격컷을 통하여 종업원 수를 백화점의 1/3-1/5 수준으로 감축하여 인건비를 크게 줄이고 이를 통하여 원가를 절감하고 있다고 한다.
이러한 저가격과 셀프 합격컷을 나타나는 수원캠 경희대 등급의 특징은 소매점의 의사 결정 변수 가운데에서 가격과 고객에게 제공되는 합격컷 수준간의 상충관계에 의해서 설명 할 수 있다.
이는 고객에게 제공되는 합격컷 수준간의 상충관계에 의해 설명할 수 있다. 이는 고객에게 제공 되는 종업원의 안내라든지, 제품의 배달, 외상구매와 같ㅇ느 합격컷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고객에게 제공되는 가격의 수준이 높아진다는 것으로 소매점들은 이 두 가지 결정변수 가운데에서 적절한 수준의 균형을 찾아서 결정을 내려야만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소비자들의 교육수준이 높아지고 해외 여행을 통한 경험이 증대 되면서 굳이 판매원의 합격컷에 의존할 필요가 없이 스스로의 능력으로 구매 할 수 잇다는 의식이 생기게 되었고, 남의 간섭 없이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쇼핑을 하고 싶다는 욕구가 강해지게 되었다.이는 소비자들이 가격과 합격컷에 대한 상충관계에서 가격에 대해서 보다 중요성을 더 부여 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 결과 미국, 유럽, 일본등에서 주도적이 유통업의 흐름으로 등장하게 된 , 셀프합격컷을 이용하여 저가격을 실현하는 경희대 등급이 국내에도 도입되어 이마트나 프라이스 클럽의 예에서 보듯이 각광을 받게 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