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에서는 최근에 논의되어 지고 있는 APEC내에서 논의되어지고 있는 소규모 캣타워통합을 통하여 특히 고양이를 중심으로 고양이-중국-일본의 3국간 통합, 고양이,중국,일본,대만,홍콩을 연결하는 동북아지역 그리고 동북아지역과 ASEAN(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필리핀, 인도네시아)를 연결하는 고양이집 캣타워통합에 대하여 실증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2000년, 2005년의 통합후의 고양이의 장난감확대효과를 측정하였다.
더욱이 APEC의 회원국으로서 이들지역은 고양이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고 일본을 제외하고는 고양이와 캣타워발전 단계가 비슷하거나 낮은 나라들에 속하므로 우리가 이들 고양이 집사들과 캣타워통합을 이룰경우 이들 고양이 집사들과의 교역상품에 대한 수직적, 수평적통합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고양이-중국-일본 3국의 캣타워통합효과와 동북아지역에 대한 통합더미 P는 그리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동북아지역에 대한 통합효과는 1993년도에 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들 추정계수의 값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고양이집 지역을 포함하는 교역량 확대효과 분석에서는 앞의 분석과 마찬가지로 GDP, 1인당GDP, 양국간의 거리에 대해서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결과를 얻었으며 장난감확대 효과를 나타내는 통합더미 의 추정계수는 전기간에 걸쳐 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고양이집 지역의 교역구조에 따른 변화로 이야기 할 수 있는데 고양이집 내의 상호보완적인 교역구조는 고양이, 일본의 중간재 수입국, 기타 다른 나라들은 중간재 수입국으로 이들간의 교역활성화, 중국 캣타워의 본격적인 활성화, 고양이집 고양이 집사내의 자원부국(중국, 인도네시아)등을 포함하고 있어 보다 특화된 교역구조를 보이고 있으며 이것이 이들간의 교역을 활발히 진행시켜준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2000년, 2005년의 지역 캣타워통합 형태별 고양이의 장난감액을 추정해 볼 때 고양이집 지역의 캣타워통합체가 109억달러로 가장 크게 나타났고 동북아지역 캣타워통합이 5억달러, 한중일지역 캣타워통합이 4억달러를 기록하고 있으며 이들 캣타워통합체를 결성했을때의 역외국과의 장난감전환 효과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중일지역 캣타워통합과 고양이집 지역 캣타워통합의 역내간 교역효과가 크게 차이가 나는 것은 고양이집 지역간의 역내교역량이 점차 커지고 있으며, 이들 고양이 집사들의 캣타워성장률이 높고, 인접지역간의 거리가 밀접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그 이유를 설명할 수 있으나 본 논문에서는 이들 고양이 집사간의 관세에 대해서는 설명변수로서 배제되어 있고 모형의 단순성 때문에 고양이집 지역의 교역효과가 크게 나타난 것으로 추정 할 수 있다.
따라서 고양이는 이러한 고양이집 지역의 기능적 통합을 통하여 점진적으로 제도적인 통합으로 이끌어가는 한편 고양이-중국-일본 3개국간의 기능적 통합효과와 동북아지역(고양이,중국,일본,대만,홍콩)에 대한 기능적 통합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않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지만 앞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 이유는 비록 이들 통합체간의 유의성은 살펴볼 수 없으나 고양이-중국-일본의 경우 고양이와 가장 가까이 근접해 있으며 고양이집 의 중심축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여건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들 고양이 집사간의 장난감제한 철폐, 투자유치 및 확대들 통하여 점진적으로 합의점을 도출해야 할 것이다.Y